영화 산업, 변해가는 조직문화 / 2020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고 영예인 작품상을 수상하고 전 세계인들을 영화관으로 불러 모은 영화 ‘기생충’이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영화 제작에 들어가기 전 모든 스태프와 배우의 표준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주 52시간 근무제를 지키면서 촬영을 했다는 사실 입니다. 당연히 지켜져야 하는 이러한 사실이 주목받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 서비스나 기업 등 상세 내용을 보실 수 있도록 글 중간 중간에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1. 기생충, 근로기준법을 준수해도 걸작을 만들 수 있다!
영화와 드라마 제작 현장의 근무 환경이 열악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영화나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도급의 형태로 고용되어 왔습니다. 그렇기때문에 하루에 20시간 가깝게 이어지는 장시간촬영도 관행처럼 이어오고 있었죠.
(출처=동아일보)
업계에서는 드라마나 영화 제작 현장의 특수성 때문에 52시간 근무제나 최저임금법 등이 지켜질 수 없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극한의 작업환경을 거쳐야만 좋은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일까요? (영상)
(출처=네이버영화)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은 영화 ‘설국열차’와 ‘옥자’를 촬영하면서 유럽과 미국식 규정을 많이 배웠다고 합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 제작에 들어간 '기생충' 촬영 현장에 이를 적용했죠.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과 표준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주 52시간 근무제도 지키고 4대 보험도 적용해 영화 제작 현장의 근무 환경을 확 바꿨습니다. 이전과 달리 스태프들의 노동시간을 지켜주며 촬영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영화를 만들어 냈습니다.
봉준호 감독은 스텝뿐 아니라 배우를 보호하기 위해 CG(컴퓨터그래픽)를 활용했다는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더욱 주목받았습니다. 기록적 폭염을 이어가던 지난해 여름, 집 밖에서 아이가 노는 장면을 촬영해야 하는데 너무 위험해 '블루 스크린'으로 CG를 활용하였습니다.
#2. 넷플릭스가 컨텐츠 제작 환경을 바꿀 수 있었던 이유는?
해외에서는 제작환경이 어떻게 바뀌어 가고 있을까요? 넷플릭스는 애자일* 방식으로 바꿔 일하기 시작하면서 소비자 피드백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었고, 시기 적절하게 소비자들의 피드백을 수정,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영상)
(*애자일, Agile : 회사에서는 문서화하고 고민하는 대신에 팀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자유를 주어 이들이 민첩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빠르게 성장한 넷플릭스가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도 활약할 수 있었던 것은 애자일 엔지니어링 팀의 프로디클 무브 라는 프로젝트 덕분입니다. 촬영과 관련된 것들을 모든 참여자가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죠. 새로운 생각은 아니지만 이메일과 PDF 등 다양한 경로로 전달했던 모든 정보를 하나의 실시간 시스템으로 모으는 통합 제작 프로세스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복잡한 행정, 기획, 관리 업무를 줄일 수 있다면 그만큼 유연성이 높아지고, 그 혜택은 창작 역량 강화와 작품의 질 향상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실제로 “글로우: 레슬링 여인천하”와 “레모스니켓의 위험한 대결” 등 대규모 제작 현장에서 테스트를 거쳐 검증이 되었다고 합니다.
beneFIT Letter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FIT한 지식 혜택
(베네핏레터는 두번째, 네번째 금요일에 찾아갑니다)
beneFIT Letter(베네핏 레터)는 이노핏파트너스의 노하우를 담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산업별' 핵심 지식, 트렌드를 큐레이션한 뉴스레터입니다.
이 내용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