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이노핏파트너스의 노하우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산업별’ 핵심 지식과 트렌드를 큐레이션한 지식혜택
[신기술] 가장 앞선 과거, '디지털 고고학'
디지털 고고학이란 디지털 장비를 이용해 고고학 탐사 및 연구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디지털 혁신 큐레이션

#디지털고고학  #디지털대전환  #디지털혁신


가장 앞선 과거, '디지털 고고학'


디지털 고고학이란 디지털 장비를 이용해 고고학 탐사 및 연구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고고학은 자료를 기반으로 과거 인간의 활동을 설명하는 정보 집약적인 분야로 인류가 남긴 유물뿐 아니라 짐승의 뼈나 씨앗 등을 연구합니다. 제한적인 증거 자료를 연구하기 위해 그 과정을 기록하고 이를 최대한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고고학의 오랜 과제입니다. 그러다 보니 그 과정은 매우 느리고 많은 노력을 요하나, 역설적이게도 발굴하지 않는 것이 가장 잘 보존하는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고고학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디지털 기술이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면 땅을 파거나 어렵게 발굴하지 않고도 그 모습과 형태를 알 수 있고, 예전 모습 그대로 다시 만들어 내거나 과거 생활상을 재현해 당시의 삶을 더 생생하게 엿볼 수 있습니다.
오늘의 주제  :  디지털 고고학(Digital Archaeology)

1️⃣ 훼손없이 되살리는 비파괴 복원 기술

2️⃣ 가상현실로 만나는 역사 속 인물과 문명

3️⃣ 소장하는 역사, NFT를 활용한 디지털 유물
#문화재복원  #비파괴복원기술  #AI
훼손없이 되살리는 비파괴 복원 기술

AI를 활용한 비파괴 복원, 뜯어보지 않고도 내용을 알 수 있는 편지

2021년 3월 네덜란드 헤이그의 한 박물관에서 17세기부터 300여 년간 밀봉되어 있던 편지의 비밀을 AI 기술로 밝혀졌습니다. 유럽에서 편지 봉투가 널리 사용되기 전, 사람들은 편지를 여러 번 접에 봉인해 보냈습니다. 어릴 적 친구와 주고받던 비밀편지처럼 말입니다. 이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엑스선 미세단층촬영 기술과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열어보았습니다. 편지를 뜯지 않고 그 내용을 볼 수 있게 된 것이죠. 판독 결과, 그 편지는 사촌 간이 주고받은 것으로 17세기 유럽인의 삶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습니다.

(출처: AI Times

3D 스캐너를 활용한 비파괴 복원, 디지털 탁본

탁본은 종이와 먹을 활용해 비석에 새겨진 금석문의 정보를 종이에 옮기는 문화재 조사 방식입니다. 전통 방식의 탁본은 그 과정에서 문화재 훼손 우려가 있어 선명하게 뜨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디지털로 전환해 문화재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금석문의 정보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디지털 탁본’입니다.


3D 스캐너*를 사용하는 디지털 탁본은 기존 탁본보다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탁본 방식으로 확인하기 힘들었던 정보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충주고구려비나 감산사 미륵보살상 명문 등 기존 탁본에서 확인 불가능했던 정보가 디지털 탁본으로 새롭게 밝혀지면서, 기존 역사 상식이 뒤집히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3D(입체) 스캐너 : 대상 물체의 3차원 정보(2차원: 크기,형태,색의 2차원 정보 + 깊이 정보)를 레이저 또는 빛의 반사된 신호를 통해 획득하고, 컴퓨터에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말합니다.
문화유산사진연구소의 디지털 탁본. (출처: 서울신문)
#디지털휴먼  #VR  #3D스캔

가상현실로 만나는 역사 속 인물과 문명

우리는 간혹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거나 이미 세상을 떠난 인물을 만나는 꿈을 꿀 때가 있습니다. AI기술을 활용하면 이 같은 꿈도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복원으로 만나는 역사 속 인물 (AI디지털 휴먼)

역사적 인물이나 위인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해 인공지능이 딥러닝을 통해 실제 그 인물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디지털 휴먼’이라고 합니다.


이 기술을 활용해 2021년 6월 ‘역사·전통문화의 정체성 확립’ 정책포럼에 안중근 의사가 등장했습니다. 포럼 참석자들 앞에 모습을 드러낸 안중근 의사는 관객에게 반갑게 인사를 건네고 칭찬의 말에는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또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을 당시의 상황과 심정을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안중근 의사를 되살린 디지털 휴먼의 경우 1단계적인 AI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또 안중근 디지털 휴먼은 자연어이해(NLU)* 기술과 모션 캡처*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돼 탄생했습니다.


*자연어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자연어 표현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표현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쉽게 말하면 우리가 하는 말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모션캡쳐(Motion Capture): 몸에 센서를 부착시키거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체의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 흔히 영화에 사용되는 컴퓨터 그래픽에 사용됩니다.

‘대한황실문화의 관리·지원과 디지털 복원 방안’이란 주제로 지난 2021년 6월 22일 열린 정책포럼에서 안중근 의사 인공지능(AI) 디지털 휴먼이 등장했습니다. (출처: AI Times)

땅 속에 묻힌 멸망한 도시, 앙코르와 폼페이 되살리기

앙코르

1431년에 약탈당하기 전까지 500년 동안의 동남아시아 크메르 제국의 수도였던 앙코르도 가상현실 버추얼 앙코르(virtual Angkor)로 되살아났습니다. 모나시 대학의 센시랩(SensiLab), 플린더스 대학,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이 협업한 버추얼 앙코르 프로젝트는 3D 스캔을 이용해 앙코르와트의 불교 사원 주변을 시각화 했습니다. 버추얼 앙코르는 고고학적 데이터 수집 분야에서 이루어진 혁신 덕에 가능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땅 속에 숨겨져 있던 13세기 앙코르 와트의 일상 중 하루(24시간)을 재현하는 것이었습니다. 버추얼 앙코르는 모든 컴퓨터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파노라마 360도 비디오의 형태뿐 아니라 VR 헤드셋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몰입형 가상 현실 체험을 제공합니다.

폼페이
이탈리아 나폴리 근처에 위치한 사라진 ‘폼페이’는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잿더미가 되어 사라진 로마 귀족들의 도시입니다. 1592년 폼페이 위를 가로지르는 운하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건물과 회화작품들이 발굴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폼페이는 지난 3세기 동안 폼페이는 3분의 2만 발굴되었고, 그중 대부분은 곡괭이로 작업 되었습니다. 그러나 연구원들은 마지막 3분의 1을 가능한 많은 최첨단 도구를 가지고 접근하고 있습니다. 폼페이 발굴에는 지표 투과 레이더(GPR)*를 활용했습니다.

*지표투과레이더(Ground-Penetrating Radar): 10MHz~수 GHz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 펄스를 이용하여 지하구조 파악 및 지하시설물 측량 방법입니다.

많은 발굴지에서 가장 큰 비극은 표층과 심층 사이의 중간층이 그 자체만으로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땅을 파는 과정에서 파괴된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레이더처럼 GPR은 원치 않는 손상을 피해 전파를 방출하여 그에 대한 반사를 측정해 사물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이를 활용해 학자들은 일꾼들이 간단한 식사와 와인을 즐겼던 것으로 보이는 아주 잘 보존된 식당 유적을 발견했습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행렬에 사용되었을 의례용 전차가 온전한 모습으로 발견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희귀한 유물은 당시 로마 거리의 교통 상황을 모형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NFT  #디지털유물소장  #광개토대왕비
소장하는 역사, NFT를 활용한 디지털 유물
고구려 역사의 상징, 광개토대왕비

혜정문화재단은 광개토대왕비 실물 원석탁본을 대상물로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 NFT’를 한정 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광개토대왕비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한 것으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큰 비석입니다.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혜정본)에 새겨진 1600년전 광개토대왕의 일대기가 대체불가토큰(NFT: Non-fungible Token)으로 부활한 것입니다.


광개토태왕비 원석탁본 NFT는 광개토태왕 비석 설립해인 서기 414년을 기념해 총 414개가 발행됩니다. 원본 소장 기관인 혜정문화재단이 해당 NFT가 ‘광개토태왕비 원석탁본’을 발행 대상물로 삼아 한정 발행됐음을 보증, 증명함으로서 디지털 자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됩니다.

광개토태왕비 원석 탁본 (출처: gametoc)
세계가 인정한 한글 창제의 원리, 훈민정음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더 잘 알려진 <훈민정음>은 1443년 세종대왕이 창제하신 훈민정음 28자에 대한 자세한 해설과 예시를 통해 한글의 창제 배경과 목적, 제자 원리 등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문자 창제에 관한 분명한 기록을 책으로 남겨 전한 것은 <훈민정음>이 유일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려한 글씨로 정교하게 새긴 목판으로 인쇄되었고, 사용된 종이나 먹도 우수하여 세종시대 출판문화의 우수함이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세종이 창제한 새 글자는 오늘날까지 자형이 조금씩 변화되어 왔으나, 이 책의 자형이 가장 초기 모습입니다.

간송미술문화재단에서는 국보 제70호,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인 훈민정음 해례본을 100개 한정의 NFT(개당 1억원)로 발행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을 NFT화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으로 영구 보존하고, 문화유산의 보존과 미술관 운영 관리를 위한 기금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기고교수 / 이노핏파트너스 이하연 수석
글 정리 / 이노핏파트너스 마케팅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FIT한 지식 혜택 (베네핏레터는 격주 금요일에 찾아갑니다)

beneFIT Letter(베네핏 레터)는 이노핏파트너스의 노하우를 담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산업별' 핵심 지식, 트렌드를 큐레이션한 뉴스레터입니다. 
이 내용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구독해주세요!

>> 구독하러 가기